카테고리 없음

지구 질량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에 대해 알아봐요

트래블 준 2023. 5. 26. 15:00

 

안녕하세요. A.K.A JuN 인사드립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대해서는

늘 끊임 없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미 확인 된 부분들도 있고

아직까지도 확인하지 못한

다양한 부분에 대해서

계속해서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 A.K.A JuN에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질량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구의 잘량은 현재 확인된 바로는

5.976x10(24제곱)kg 입니다.

 

 

지구의 질량의 경우 만유 인력의 법칙과

욜리의 지구 질량 측정방법 그리고

중력 가속도를 이용해서 측정을 하고 있습니다.

 

이 측정법들을 통해서

지구의 질량을 측정하고,

또 이 지구의 질량을 부피로 나누어서

밀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과거 17세기로 돌아가보자면

아이작 뉴턴이 우주에서 질량을 가지고 있는

모든 물체들의 사이에서는 중력에 의한

끌림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해냈습니다.

 

이는 만유 인력의 법칙으로 발표가 되었고

만유 인력의 법칙에 따르자면

두 물체의 사이에 작용하고 있는 만유인력은

각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만유인력의 법칙

그리고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도 합니다.

지구의 중력상수의 경우 최초 아이작 뉴턴이

만유인력의 법칙으로부터 유도를 해 냈습니다.

 

그 값은 G= 6.67X10(-11제곱)N.m(2제곱).kg(-2제곱)으로 계산 됩니다. 

그에 따르면 어떠한 물체의 질량과

지구의 중심까지의 거리,

그리고 만유인력의 상수를 알고 있으며

지구의 질량이 계산될 수 있습니다. 

 

 

1881년에 독일의 요한 필립 구스타프 폰 욜리는

정밀한 천칭을 활용해서 지구의 질량을 측정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중력가속도를 이용해서도

지구의 질량을 측정할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지구의 잘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 결과가 있기에

조금씩의 차이는 있더라도

지구는 현재 질량이 어느정도인지

우리가 파악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지구의 다양한 특성에 대해서

궁금해 하고 더 알아보고자 하는 분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야

지구를 조금 더 잘 지킬 수 있고

오래도록 살아갈 수 있도록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지구는 우주에서 본다면

밝으면서 푸르스름하게 보이고 있습니다.

 

거대 망원경을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바로 행성 주변의 대략적인 위도와

벨트에 분포하과 있는 중위도

그리고 열대성 폭풍이 소용돌이 치는

흰 구름의 패턴입니다.

 

 

우리 지구의 대기의 특징으로

구름과 그 아래 눈과 얼음때문에

극지방의 경우에도 하얗게 보이고 있습니다.

 

구름이 변화하는 그 아래에는

청흑색의 바다가 나타나기도 하고

또 사막의 황갈색 패치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지구의 특징

지구의 특징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지구는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는

1.000AU = 1.496x10 8km이며 

최대 거리는 1.017 AU= 1.521x10 8km,

최소 거리는 0.983 AU= 1.471x10 8km 입니다.

 

평균 궤도 속도는 29.8km/s 이며

항성의 기간은 365.256일 입니다.

 

 

회전 기간은 23.9345시간이며

궤도에 대한 적도의 기울기는 23 27' 입니다.

또 황도에 대한 궤도의 기울기는 0도이며

궤도 이심율은 0.0167 입니다.

 

적도의 직경은 12,756km 이며

지구의 평균 밀도는 5500kg/ m3로 측정되고 있습니다. 

 

 

지구 탈출 속도는 11.2km/s 이며

편평함은 0.0034, 평균 표면 온도는 20C=68F=293K 입니다. 

최대 표면 온도는 60C=140F=333K 이며

최소 표면 온도는 -90C=-130F=183K 입니다. 

 

지구 표면의 중력 가속도는 9.8m/s 2 이며

지구 표면의 범위는 9.77에서 9.83m/s 2 입니다. 

 

 

공기 밀도의 표준은 1.29kg/ m3이며

공기 중에서는 질소가 약 78퍼센트, 산소가 약 21퍼센트,

아르곤이 1퍼센트, 이산화 탄소가 0.3퍼센트정도 존재합니다.

 

이처럼 지구는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결과가 나타나있기도 합니다.

 

 

지구의 질량이나 밀도, 태양계에서의 위치나

사계절이 변하는 모습들은

언제든지 우리가 관심만 가지면 찾아볼 수 있기에

지구에 대한 관심을 더 가지고 지구의 환경을

더 잘 보존하기 위해서 노력한다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지구 질량과

그 외 다양한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대한

다양한 부분들에 대해서도

다음에도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