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우주복 원리 및 구조에 대해 알아봐요

트래블 준 2023. 4. 21. 15:51

 

안녕하세요. A.K.A JUN 티스토리입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예전에만 해도

불가능하게 생각했던 많은 일들이

현실이 되고 있는 요즘입니다.

 

이제는 정말 불가능하게만 느껴졌던

우주를 방문하는 것도

더는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우리는 우주를 영화로 접하는 게

다이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일반인들도

우주에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일이

허황된 이야 기만은 아닌 것이

그만큼 기술이 발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 보니 우주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는 요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우주에서 버티기 위해

꼭 필요한 우주복은 무엇인지,

우주복 원리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주는 지구와는

전혀 다른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주에서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우주복은 필수입니다.

 

우주복의 색상

영화에서 나오는 우주복 대부분은

흰색으로 되어 있습니다.

 

영화에서 우주복은 흰색으로 나오다 보니

당연히 흰색으로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데

우주복이 흰색인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우주복이 흰색인 이유는 우연이 아니라

인간의 생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우주에 공기가 없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우주에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태양이 내보내는 빛이 공기에 흡수되지 않습니다.

그대로 우주 속을 떠다니는 존재입니다.

 

 

방사선에도 그대로 노출이 될 수밖에 없는데

이는 행성도 녹여버리는

강력한 성질로 우리 몸에 닿기라도 한다면

피부는 화상을 입는 것은 물론이고

세포 손상을 야기합니다.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태양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흰색으로 우주복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여름에는 빛을 흡수하는

검은색 계열의 옷을 입으면

더욱 덥게 느껴지고

흰옷을 입으면 더욱 시원하게 느껴지는데

실제로 흰옷은 햇빛을 35% 정도를

반사하는 성질이 있다고 합니다.

 

 

보통 우주복은 흰색이지만

모든 우주복이 흰색인 것은 아닙니다.

우주복 중에는 주황색의 우주복도 있습니다.

 

우주비행사들은 우주에서

어떤 활동을 하는지에 따라

우주족을 바꿔 입습니다.

 

 

우리가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흰색 우주복은 우주선 밖에서

탐사 활동을 할 때 입는 옷입니다.

 

우주선 내부에 있을 때나,

지구로 귀환할 때 입는 옷은 따로 있습니다.

 

주황색 옷이 우주선이 발사하거나

귀환할 때 입는 옷인데 이는 사고가 났을 때

구조대원이 우주비행사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주황색 옷을 입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GPS 기술과 우주선을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 한 층 더 발전하면서

굳이 주황색을 고집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나라와 기업을 상징하는

우주선 컬러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우주복은 우주선 내부에서 입는 우주복과,

우주선 밖에서 입는 옷이 있습니다.

 

우주선 안에 있을 때는

비교적 편한 복장을 착용하지만

우주선 밖에서 입는 우주복은

매우 정교하고 복잡하게

우주복 원리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우주복의 원리

밖에서 입는 우주복 원리는

태양열과 방사능, 전자파 등을

차단하는 이중 구조의 헬멧이 있으며

상의, 하의, 휴대용 생명유지장치 배낭,

제어 모듈, 압력장갑, 우주선외용 장갑,

통신헤드셋, 이어폰, 장화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주복 하면 가장 먼저 떠올려지는

헬멧은 태양빛으로 눈을 보호해 주기 위해

금으로 도금된 창이 붙어 있습니다.

 

이는 통신이나 식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입니다.

 

우주복의 장갑은 실리콘 고무를 사용해서

장비를 조작할 때 편하며,

장화도 겉은 금속의 섬유로 만든

직물 소재를 적용했고 안창에는

실리콘 고무 재질을 사용해서

가벼운 보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배낭 형식의 생명유지장치는

산소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며

습도와 압력을 조절해줍니다.

 

또한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안쪽에는 액체 냉각 속옷을 착용하고 있어

높은 온도에서도 체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운성충격완화 열처리 속옷도 착용합니다.

 

 

우주복은 평균적으로

10개가 넘는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로

비행사들의 몸에 우주복을 밀착시킬 수 있는

스판덱스층, 냉각수를 흘려보내는 층,

공기를 품는 우레탄층, 단역층,

압력차로 인해 공기가 부풀어오르는 것을

막아주는 테크론층 등

기능과 역할은 매우 다양합니다. 

 

 

우주복의 방탄복을 만드는

케블라층은 우주복이

찢어지는 것을 예방해 줍니다.

 

우주복 안은 100% 산소로 이루어져 있고

기압은 지구의 1/3 정도입니다.

 

우주복 착용 후에는

바로 활동을 할 수 없으며

1시간 정도 적응하는데 시간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