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망원경 원리와 정확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기

트래블 준 2023. 10. 30. 18:00

 

망원경은 우리가 천체를 관측하거나

멀리 있는 물체를 가까이에서 볼 때 사용하는 도구로

다양한 원리를 가지고 있는 장치입니다.

 

일반적으로 망원경은 두 가지의 렌즈를 사용하여

멀리 있는 물체를 가까이에서 볼 수 있으며

빛을 굴절시키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는

볼록 렌즈를 통해 사물을 볼 수 있는 굴절 망원경과,

반사된 빛을 모으는 오목거울을 통해 보는

반사망원경이 있습니다.

 

 

망원경은 실제로 생활하면서도

접할 기회가 많으며

직접 구매를 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천문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통해

다양한 천체를 관찰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아직 어려우면서도

다가가기 힘들다는 인식이 있기에

전문가들만이 사용할 수 있는

광학기기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오목렌즈와 볼록렌즈

망원경 원리만 잘 알고

사용법을 익혀 두면

일반인들도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기에

그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학창 시절

과학 시간에 많이 배웠던 개념 중 하나가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입니다.

 

 

망원경은 이 원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개념만 잘 익혀 두면 망원경의 사용법은 쉬워집니다.

 

볼록렌즈는 렌즈의 중앙 부분이 볼록하며

가장자리보다 두꺼운 렌즈로 가운데로

빛을 모아주는 기능을 하는 렌즈입니다.

 

 

일반적으로 빛은 렌즈의 두꺼운 부분으로

굴절되는 특성이 있으며 작은 물체를

크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볼록렌즈는 볼 수 있는 범위가 작아

돋보기나 카메라, 연구 시 사용되는 현미경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목렌즈는 볼록렌즈와는 반대로

중앙 부분이 넓고 빛을 퍼져 나가게 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들이나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근시 교정 안경과 망원경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망원경은 한 가지 렌즈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렌즈의 특성에 따라 사용이 되곤 합니다.

 

 

렌즈인지 거울인지에 따라

반사망원경과 굴절망원경으로 나누어지게

이 두 가지의 특성을 잘 알아두시고

사용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로 많이 사용되는 천체망원경은

볼록렌즈와 거울의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천체 망원경은

크게 망원경의 핵심이라고 할수록 있는

공통, 망원경의 경통을 올려 두는 받침대인

기대, 가대를 연결해 주고 있는 다리인 삼각대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이 구조에서 기대는

경위 대식과 적도의식으로 나누어지며

이 부분을 통해 망원경을 분류하기도 합니다.

 

반사망원경과 굴절망원경

망원경은 크게 반사망원경과 굴절망원경으로 분류되며

이중 굴절 망원경은 접안렌즈입니다.

 

물체의 상을 확대하는 망원경으로

볼록렌즈로 이루어진 대물렌즈로 볼 수 있으며

빛을 모으는 원리를 사용합니다.

 

 

어떤 접안렌즈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망원경은 갈릴레이와 케플러식 망원경으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초점과 시야가 좁아

사용하기 어려운 갈릴레이식 망원경은

주로 소형 쌍안경으로 사용되곤 합니다.

 

지금은 많이 사라졌으며

다른 망원경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고

또 사용하는 망원경은

케플러식 망원경으로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모두 볼록렌즈로 사용하여

더 보기 편하고 프리즘이나 거울로 보정이 가능하여

천체 망원경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굴절망원경은 밀폐된 경총과

뚜렷한 명암이 특징이며

흔들림 없이 물체 관측이 가능하여

달이나 행성을 관측하는 소형망원경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반사망원경은 말 그대로

반사 원리를 이용한 망원경으로

빛이 거울 면을 통과하는 것이 어려워

렌즈보다 가공이 쉽고 가격이 저렴하기에

주로 아마추어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색수차가 없으며 굴절 망원경보다

구경을 크게 만들 수 있지만

보고자 하는 대상의 명암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

경통 내부가 불안정해 대상이 흔들려 보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반사망원경은

성운이나 성단을 보기에 좋아

대형망원경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망원경 원리중 가대에 따른

망원경 분류를 살펴보자면

경위 대식 망원경은 경통을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여

고도와 각도를 조절하면서

천체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설치가 어렵지 않고

사용하기 편하지만 계속 위치가 바뀌는 별을 따라가면서

관측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적도의식망원경은

적 경축의 위치만 북극 방향으로

지구의 자전축과 정확히 맞춰 놓을 경우

별을 추적할 수 있으며 별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그 모습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주로 별을 촬영하거나

맨눈으로 관측을 할 때 많이 사용되곤 합니다.

 

망원경은 크게 렌즈에 따라

사용법과 용도가 달라집니다.

 

평상시에 접하기 어려웠다는 생각이 들었다면

이젠 이 글을 통해 망원경 원리를 알아보시고

좀 더 쉽게 접근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