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빅뱅 우주론 지속적인 연구와 관측 결과를 통한 이론

 

안녕하세요. a.k.a jUn 티스토리입니다.

오늘은 빅뱅 우주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빅뱅 우주론이란 우주가

어떠한 한 점에서부터 탄생을 했고

현재까지 팽창하여 오늘의 우주에

이르렀다는 이론입니다.

 

 

천체망원경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허블의 관측 결과와 르메트르, 프리드만 등

우주과학자의 연구들을 토대로

1956년 러시아 출신 미국 과학자의

조지 가모프가 제시한 가설입니다.

 

 

빅뱅 우주론은 관측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우주가 왜 대폭발을 일으켰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소할 수 없어서

우주는 변화한다기 보단 영구불변한다고

생각하는 과학자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우주는 시공간에 관계없이

계속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라는 의견으로

영국 천문학자 프레드 호일은

정상우주론을 제시하였답니다.

 

 

정상우주론은 우주엔 끝과 시작이 없고

멀어지고 있는 은하의 틈을 채우기 위하여

새롭게 수소가 생겨나 별이

형상된다고 주장하는 이론입니다.

 

정상 우주론

정상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는

영구불변하고 우주는 항상 거기에 있었으며

그 속에서 인류, 물질 등이

태어났다라는 것입니다.

 

이 이론에서는 진공에서 물질이

생긴다는 최대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우주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많아지고

여러가지 우주론들이 등장하였지만

헬륨의 비, 수소, 우주배경복사 등

다양한 증거들이 제시되면서 현재는

빅뱅 우주론이 지지를 얻고 있습니다.

 

 

빅뱅 우주론이 나오고 나서

아인슈타인도 강하게 의문을 제기했었으나

서서히 증거들이 밝혀지게 되면서

빅뱅 우주론을 인정했다고 합니다.

 

 

우주가 탄생하고 나서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이

빅뱅 우주론이지만 우주가 탄생하고 나서

즉시 10-43초 사이에 짧은 시간은

지금까지도 설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폭발부터 10-43초까지의 기간을

플랑크시대라고 하는데

현재까지 이를 뒷받침할 과학적 이론이 없어서

설명을 정확하게 할 수 없는 것입니다.

 

최초의 1초

일분도 안되는 짧은 시간은

우리가 생각했을 때 상당히 짧지만

우주의 탄생 과정에서 최초의 1초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빅뱅우주론으로 인해

우주 기원의 비밀이 상당히 해소되었으나

아직까지 해결이 필요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상 우주론의 경우에도

연구가 아직까지 진행중에 있고

새로운 증거들이 나오게 되면

이론의 타당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관측 결과를 통해 이 2가지 이론을 비교하여

우주의 구조와 기원에 대한 더욱

정확한 해답을 얻어야 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빅뱅우주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