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독특하고 신기한 정보를 공유하는
a.k.a jUn 티스토리 인사드립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a.k.a jUn 티스토리에서 소개하는
우주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 중,
많은 분들에게는 생소하실 수 있는
우주 달력에 대해서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칼 에드워드 세이건
우주달력은
칼 에드워드 세이건(cARL eAWARD sAGAN, 1934.11.9 ~ 1996.12.20)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칼 에드워드 세이건은
천문학자 겸 과학저술가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천문학자 중 한 명이며,
20세기 후반 대중들 사이에서
천문학 붐을 일으키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가 쓴 책만해도 30권이 넘으며,
코스모스가 가장 대중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코스모스만이 아니라
창백한 푸른 점, 에필로그 등은
가장 유명하다고 말할 수 있으나,
칼 세이건은 천문뿐이 아니라
진화, 비과학 등에 대한 책도
많이 지필 하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안내드리는 내용은
우주 달력입니다.
우주달력(cOSMIC cALENDAR)은
우주의 역사를 이해하기 쉽도록
약 138억년에 달하는 우주의 나이를
단 1년으로 축척한 것을 말합니다.
즉 우주의 시작이라고 알려진
빅뱅(bIG bANG) 대폭발로 달력을 시작합니다.
약 137억 9,900만 년전의 대폭발을 시작으로
우주가 팽창하기 시작한 것을
1월 1일 0시로 잡고,
현재를 12월 31일 24시로 가정하여
우주를 압축하여 만든 달력이며,
이 달력에 의하면
우주력에서의 1초는 실제 시간으로
약 437년, 하루는 약 3,780만 년,
한 달은 약 11억 5,000만 년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이 우주 달력을
실제 우주와 인류의 역사에 대입하여 살펴본다면
더욱 재미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1월 1일 0시 정각에 빅뱅으로 인하여
우주가 태어났습니다.
즉 우주 달력의 시작입니다.
1월 5일 별의 천문학적 표현인 행성이
처음으로 탄생하게 됩니다.
3월 15일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처녀자리 초은하단, 국부은하군 내에 위치하면서
지구와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인
우리 은하가 탄생합니다.
약 120억 년 전입니다.
8월 31일 우리가 속해있는 태양과
태양계가 탄생합니다.
약 46억년 전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9월 21일 지구에 첫 생물이 등장하게 됩니다.
12월 22일 드디어 육상 생물이 등장하게 됩니다.
12월 29일 k-pG 멸종이 일어납니다.
[kREIDE-pALOGEN]이라고 불리는 이것은
기원전 6,600만년 경에 일어난
생물의 대 멸종 사건으로
대중적으로는 공룡의 멸종(dINOSAUR EXTINCTION)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12월 31일 13시 최초의
인간인 호모사피엔스가 등장합니다.
12월 31일 21시 45분 정도,
즉 350만년 전 인류는 직립보행을 시작합니다.
12월 31일 23시 59분,
즉 3만년 전에는 동굴에 벽화를 그렸으며
12월 31일 23시 59분 40초 정도에는
불을 다스리는 방법을 배우게 되어
야생동식물을 길들이고 땅을 경작하게 됩니다.
12월 31일 23시 59분 46초에는
인류는 드디어 글을 쓰게 되어
기록을 남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12월 31일 23시 59분 54초에는
석가모니가 탄생을,
55초에는 예수가 탄생을,
57초에는 마호메트가 탄생합니다.
12월 31일 23시 59분 58초에는
신대륙이 발견됩니다.
12월 31일 23시 59분 59초정도에는
과학을 통하여 자연의 법칙을 밝히기 시작합니다.
12월 31일 23시 59분 59.451초에
산업 혁명이 일어난다.
12월 31일 23시 59분 59.929초에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합니다.
2년 1월 1일 0시 정각
바로 21세기 현재입니다.
미미한 존재
이렇게 우주 달력에 대입해본다면
인류가 인류가 문명을 이룩한 뒤의 세월은
채 1초가 되질 않습니다.
인간이란 우주 앞에서
얼마나 미미한 존재인지를
알게 될 수밖에 없는 우주 달력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우주달력에 대한 내용과 더불어
칼 세이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우주 달력은 현 상황에 대입하여 생각한다면
재미있는 점도 있지만,
찰나의 시간을 살아가는 인간에 대해서
고민하게 됩니다.
1초도 안 되는 시간
인류가 만들어낸 세상을 생각한다면
많은 천문학자들이
우주에 빠져들게 되는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1초도 안되는 짧은 시간 많은 것을 이루어낸 인류처럼,
이 짧은 시간 우리의 시간을 잘 활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지금까지 a.k.a jUn 티스토리였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욱 흥미로운 정보와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